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가 확대되면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정량화한 ESG 스코어는 투자 판단의 핵심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동일한 기업에 대해 평가기관마다 상이한 점수를 부여하는 현상은 ESG 점수의 일관성과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야기한다. 특히 정성적 기준이 점수 산정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평가기관별 가중치와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 정보도 서로 다른 결과로 해석된다. 더불어 산업별 특성과 리스크 요인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 획일적인 평가 구조는 특정 업종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기업은 이 같은 구조적 한계를 고려해 ESG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평가기관별 특성을 분석하고 점수 차이를 이해하는 역량이 중요해졌다. 본 글에서는 ESG 점수의 편차 원인과 그에 따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