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2

바이오·헬스 산업의 ESG 특수성

바이오·헬스 산업은 인간 생명과 직결된 고위험·고책임 분야로, ESG 거버넌스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다른 산업보다 훨씬 더 복합적인 윤리적 고려가 요구된다. 특히 생명윤리는 단순한 법적 준수의 차원을 넘어, 기업의 운영 원칙 전반에 녹아들어야 하는 핵심 철학이다. 바이오·헬스 기업은 연구개발, 생산, 임상시험, 유통 등 전 과정에서 생명을 다루는 고유한 특수성을 지니며, 그만큼 ESG기준의 적용에도 산업 맞춤형 정교함이 요구된다. 임상시험의 경우, 그 과정이 환자의 인권과 직결되기 때문에 투명한 정보공개와 윤리적 검토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ESG 공시 기준은 이 산업의 민감성과 복잡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임상 데이터의 투명성과 공시 기준 간의 실질적 연계 방..

ESG 2025.05.10

ESG평가와 수자원관리

기후 변화의 가속화는 전 세계적으로 수자원 접근성과 이용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뭄, 홍수, 강수량 변화는 특정 산업의 생산과 공급망 운영에 직접적인 리스크로 작용하며, 이에 따라 수자원 관리 전략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ESG 경영의 필수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산업별로 상이한 물 발자국(Water Footprint)은 ESG 평가에서 환경(E) 항목의 리스크 수준을 결정짓는 주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수자원 의존도가 높은 산업일수록 더욱 세밀한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 기업은 생산 현장뿐 아니라 공급망 전반에 걸쳐 수자원 리스크를 파악하고 대응 전략을 구축해야 하며, 이를 명확하게 ESG 공시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와의 신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수자원 리..

ESG 2025.05.08